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581

머신러닝 1. 기계학습(Machine Learning)이란?인공지능의 한 분야이다. 1959년 아서사무엘은 기계학습을 “컴퓨터에 명시적인 프로그램 없이 배울 수 있는 능력을 부여하는 연구 분야”라고 정의하였다. 즉 사람이 학습하듯이 컴퓨터에도 데이터들을 줘서 학습하게 함으로써 새로운 지식을 얻어내게 하는 분야이다. y=3x라는 함수를 예로 든다. (x.y)의 집합 중 (1,3), (3,9), (4,12), (6,18)의 데이터가 있다고 하자. 해당 함수를 컴퓨터가 모르더라도 앞의 데이터들을 컴퓨터에 입력하면 컴퓨터가 학습한 후에 (8,?), (10,?) 등의 질문을 던지면 그 y에 대한 답을 컴퓨터가 할 수 있도록 만드는 것이 기계학습인 것이다. 즉 y=3x란 함수를 프로그래밍하지 않아도 답을 얻게 된다. 아래의.. 2017. 11. 14.
IOT 로봇기술로 1가구 3로봇 시대를 , 서큘러스 얼마 전 스페인 바르셀로나에서 열린 MWC 2017에 참가한 한 국내 기업이 유수의 외신으로부터 글로벌 10대 혁신 스타트업으로 선정되어 화제가 된 바 있다. IoT 메이커 교육과 지능형 로봇 스타트업인 서큘러스는 가정용 반려 로봇 파이보를 전시해 전세계의 이목을 끌었는데, 사용자에게 정보를 제공하고 교감할 수 있는 특징을 내세우고 있다. 로봇에 사용된 기술을 확장해 우리 생활을 좀 더 편리하게 만들려는 서큘러스를 만나보자.임직원 프로필박종건서큘러스 대표이사 / 수원대학교 조교수, (전) Daum게임 게임운영, (전) 삼성SDS IoT/빅데이터 부문 연구개발, (현) Circulus 지능형 IoT 플랫폼 개발이윤재서큘러스 기술이사, (전) 텔리언 네트워크 임베디드 장치 연구/개발, (현) 로봇 하드웨어/.. 2017. 11. 13.
LG '로봇' 시장 정조준…인천공항 이어 스타필드로 고객 접점 확대 LG전자가 7월 인천국제공항에 안내로봇을 처음 도입한 데 이어 스타필드 하남에도 로봇을 전진 배치하며 로봇시장 선점에 나섰다. 4차산업혁명 시대를 맞아 로봇을 미래 성장동력으로 육성하겠다는 의지로 풀이된다. 시장조사 기관 IDC는 2017년 초 '세계 상업 로봇 시장' 보고서를 통해 2020년까지 세계 로봇 시장 규모가 220조원에 이를 것으로 전망했다. 이는 2016년 예측치보다 두배쯤 증가한 수치다. 현재는 산업용 제조 로봇시장이 중심으로 시장이 형성되지만 최근 개인 서비스용 생활 로봇 비중이 늘어나는 분위기다. LG전자는 7일부터 경기도 하남시에 위치한 대형 쇼핑몰 스타필드 하남에서 쇼핑테마파크 '스타필드'를 운영하는 '신세계 프라퍼티'와 협력해 안내로봇 2대의 현장 테스트를 시작했다고 8일 밝혔다.. 2017. 11. 10.
걱정반 기대반, 테슬라 모델3 이달 시험 생산 테슬라가 오는 20일부터 모델3의 시험 생산을 시작한다는 소식이다. 테슬라 관계자는 "이 달 중으로 공장과 부품 점검에 중점을 두고 캘리포니아 프리몬트 공장에서 모델3 시험 생산을 시작할 것"이라고 말했다. 모델3의 선주문 계약대수는 지난 해 기준 37만대에 달하고 있다. 테슬라는 모델3의 본격 생산은 당초 밝힌대로 시험생산이 완료되는 오는 7월이 될 것으로 전망했다. 앨론 머스크 테슬라 CEO는 2016년 투자자 간담회에서 2017년 2월 모델3 시험 생산과 7월 본격 생산 계획을 밝힌 바 있으며 반면, 상당수 전문가는 무리한 일정에 대해 우려를 나타내기도 했다. 전문가들은 모델 3 생산이 본격적으로 시행될 경우, 테슬라의 연간 생산량은 2016년 대비 4배에서 5배로 증가할 것이며 대형 완성차 업체로.. 2017. 11. 7.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