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전기차 충전 1분시대 열릴까
소비자들이 전기차를 구입할 때 가장 걱정하는 부분은 다름 아닌 주행 가능 거리다. 내연기관 자동차는 주행 가능 거리가 짧아도 근처 어디든 주유소가 있고, 연료 주입도 금방 끝난다. 하지만 전기차는 배터리가 바닥나면 충전하는데 수 시간 이상 걸리며, 충전소도 많지 않다. 까딱 잘못되면 어찌할 방도가 없다.
주요 완성차 회사와 세계 주요 대학ㆍ연구기관은 이런 전기차 충전 문제를 해소할 기술을 개발하고 있다. 주목받는 기술 중 하나는 ‘플로 셀 배터리’(Flow Cell Battery)다.
플로 셀 배터리는 내부에 들어 있는 ‘전해질액’(배터리액)을 외부로 뽑아내 별도의 탱크에 담아두는 형태의 전지다. 쉽게 말해 주유소에서 기름을 넣는 것처럼, 배터리가 떨어지면 전기차에 배터리액을 주입(정확히는 교체)하는 식으로 충전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다임러·BMW·포드·폴크스바겐 그룹의 합작 컨소시엄 업체인 피닉스 컨텍트(Phoenix Contact)는 현재 분당 350㎾급 초고속 충전기를 개발하고 있다. 이러한 충전기가 보급되면 충전시간을 50% 가까이 단축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피닉스 컨텍트는 향후 500㎾급 초고속 충전소도 개발할 계획이다.
현재 고속 충전소는 1분당 충전시킬 수 있는 용량이 약 50㎾를 넘지 못한다. 발열 문제를 비롯해 강력한 전류를 안전하게 배터리로 옮길 수 있는 기술적인 제약이 있기 때문이다. 일반적인 전기차의 경우 고속충전소를 이용해도 80%까지 충전하는데 20~40분이 소요된다. 80~100%까지 충전하기 위해서는 완속 충전이 이뤄져 해 시간은 더 소요된다. 하지만 향후 초고속 충전 기술이 상용화하면 이러한 시간적 제약에서 보다 자유로와질 전망이다.

초고속 충전소의 전경
주요 완성차 회사와 세계 주요 대학ㆍ연구기관은 이런 전기차 충전 문제를 해소할 기술을 개발하고 있다. 주목받는 기술 중 하나는 ‘플로 셀 배터리’(Flow Cell Battery)다.
DA 300
플로 셀 배터리는 내부에 들어 있는 ‘전해질액’(배터리액)을 외부로 뽑아내 별도의 탱크에 담아두는 형태의 전지다. 쉽게 말해 주유소에서 기름을 넣는 것처럼, 배터리가 떨어지면 전기차에 배터리액을 주입(정확히는 교체)하는 식으로 충전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다임러·BMW·포드·폴크스바겐 그룹의 합작 컨소시엄 업체인 피닉스 컨텍트(Phoenix Contact)는 현재 분당 350㎾급 초고속 충전기를 개발하고 있다. 이러한 충전기가 보급되면 충전시간을 50% 가까이 단축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피닉스 컨텍트는 향후 500㎾급 초고속 충전소도 개발할 계획이다.
현재 고속 충전소는 1분당 충전시킬 수 있는 용량이 약 50㎾를 넘지 못한다. 발열 문제를 비롯해 강력한 전류를 안전하게 배터리로 옮길 수 있는 기술적인 제약이 있기 때문이다. 일반적인 전기차의 경우 고속충전소를 이용해도 80%까지 충전하는데 20~40분이 소요된다. 80~100%까지 충전하기 위해서는 완속 충전이 이뤄져 해 시간은 더 소요된다. 하지만 향후 초고속 충전 기술이 상용화하면 이러한 시간적 제약에서 보다 자유로와질 전망이다.
반응형
'4차산업 > 전기자동차'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배터리와 충전시스템 (0) | 2017.11.01 |
---|---|
전기차에 들어가는 리튬 이온 배터리 종류 (0) | 2017.11.01 |
ABOUT ELECTRIC VEHICLES (0) | 2017.10.26 |
‘전기차 시대’ 한발 늦은 현대차, 한발 빠른 LG·삼성 (0) | 2017.10.25 |
미국 전기차시장 최근 동향 및 전망 (0) | 2017.10.24 |